https://news.mit.edu/2014/in-the-blink-of-an-eye-0116
2014년 MIT 뉴스에 따르면
사람은 13ms(0.013초) 동안 잠시 비춰지는 이미지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했다고 합니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59490307_Detecting_meaning_in_RSVP_at_13_ms_per_picture
이 연구결과는 논문으로 나왔는데, 13ms 라고 하는 값도 인식의 한계값이 13ms 가 아니라,
실험에서 준비했었던 모니터가 75 Hz였기 때문에 그 모니터로 나올 수 있는 가장짧은 이미지 출력시간이 13ms 라서 모니터로 할 수있는 한계 값까지만 확인이 됐다고 합니다.
동체시력이라는 말을 말 그대로 받아들인다면 "움직이는(동) 물체(체)"를 보기위한 시력이지만
움직이지 않고 제자리에서 변화하는 물체에 대해 동체시력의 의미를 적용시키면 동체시력은 시간에 대한 분해능으로 치환가능합니다.
사실 논문까지 찾아볼 필요 없이 경험적으로 분해능이 꽤나 높다는 것을 대략적으로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옛날 안정기가 없을 때 사용하던 형광등 앞에 손을 대고 흔들어 보거나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두면, 백열등이나 자연광과는 다르게 깜빡이는게 인식이됩니다.
이는 옛날 형광등이 교류 전원의 주파수 60Hz로 인해 형광등이 초당 120번의 밝기 변화가 생겼고 움직이는 물체의 그림자를 눈으로 인식해서 120Hz의 변화를 하는 그림자를 인식했던 것입니다.
물론 단순 그림자로 인한 밝기 변화를 인식하는 것과
위의 실험에서 말한 이미지를 인식하고 이미지 구분은 약간 다르므로 정확한 분석은 아니지만
MIT의 실험에서 13ms 가 한계값이 아니라는 것과 경험적으로 120Hz는 인식이 가능하다는 것으로 부터
사람의 동체시력은 제법 높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사람의 눈은 밝기에 따라 인식할 수 있는 것이 다르고
태양같이 너무 밝은 것을 보면 눈에 잔상이 남는 것으로 부터
동체시력을 높이기 위한 적정 밝기가 있고 밝기에 따라 동체시력이 달라진다는 것도 추측이 가능합니다.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타에서 관찰되는 줄 위의 파동 (0) | 2022.06.16 |
---|---|
DBD 플라즈마 (0) | 2022.06.15 |
반데그라프(정전기 고전압 발생장치) (0) | 2022.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