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OF96에서 이오리의 악명을 높인 설풍은 다른 시리즈에 비해서 유리한 점이 많았습니다.
1. 잡기사거리 : 96 특유의 긴 사거리의 커맨드잡기
2. 잡기 유형 : 98부터 커맨드 입력 후 일정 시간 지연이 된 후 잡는 것으로 변경됨 [무적잡기]  
3. 프레임 이득

위의 세가지 요소 덕분에
96의 이오리를 약간만 연습하면 상대에게 기회를 주지않고 무한으로 공격하는 것이 가능할 정도로
96의 설풍은 성능이 매우 좋았습니다.

다른 KOF와 비교했을 때, 96의 설풍이 얼마나 더 프레임 이득이 있는가?? 를 확인해 본 영상입니다.
영상은 아래와 같이 편집되어 있습니다.
1. 설풍으로 잡는 순간을 동기화 시킴
2. 이오리가 제자리 점프를 하는 순간을 1초로 편집
3. 이오리가 점프를 뛴 후 부터 프레임 카운트시작

영상을 캡쳐 및 편집을 하는 과정에서 
60프레임으로 구동되는 게임이 59.x 프레임으로 녹화 후 편집이 되기도 하기 때문에
영상에 표기된 프레임은 약간 부정확할 수 있는 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KOF96에서 매우 유용하게 성능이 변경된 이오리의 설풍은
어떤 캐릭터를 상대로 사용했는가?? 에 따라 이오리로 부터 떨어진 이격거리가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서 일본팀의 경우
쿄, 베니마루, 다이몬을 각각 이오리의 설풍으로 잡고난 후 거리를 비교해보면
- 이오리로 부터 쿄까지의 거리가 가장 가깝고
- 이오리로 부터 베니마루까지의 거리가 가장 멀게 떨어집니다.
 > 캐릭터의 위치는 위치판정박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합니다.
   >> 영상에서 위치판정박스는 초록색으로 표현됐으며, 잡기피격판정박스와 중심점을 공유합니다.
   >> 캐릭터의 스프라이트, 즉 그래픽으로는 기준점을 잡기가 어렵고, 피격판정은 약간 어긋나게 구현될 때가 있습니다.

위 영상에서 설풍 후 이격거리를 비교할 때
0. 쿄에게 설풍을 사용 후 이오리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정했습니다. [영상 내 백색 수직선]
1. 설풍 후 이오리로부터 가장 가까운 캐릭터의 위치적색 수직선으로 위치를 표기했습니다.
2. 설풍 후 이오리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지는 캐릭터의 위치황색 수직선으로 위치를 표기했습니다.
 > 설풍 후 이오리의 위치가 달라지는 경우 화면전체를 좌/우로 이동시켜 보정을 했습니다.

이번 영상에서 언급되는 내용은
97에서 이오리가 귀보 + 설풍을 할 때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 설풍 후 이격거리 비교를 할 때 영상에 사용된 음악은 KOFXIII 야가미팀의 OST 폭풍의 색소폰 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