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OFXIII에는 튜토리얼 메뉴가 있습니다.
여기에서 설명된 내용들은 대부분이 KOF98에 적용이 가능합니다.

KOF시리즈 최후의 2D 작품인 KOFXIII에서 설명하는 내용으로 KOF98의 기본 튜토리얼을 습득해 봅시다.

 

영상 초반에도 설명하는 글이 나오지만 KOFXIII(스팀에디션) 오프닝이 나온 뒤에 튜토리얼을 진행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랄프의 말타기 발칸펀치 이후 갤럭티카 팬텀은 파훼가 가능한 유사콤보입니다.

위의 영상대로 파훼법이 쉽기도 하며,

 

앉은키가 작은 캐릭터의 경우 하단가드를 입력하고 있으면 커맨드 입력이 인식 되는 순간 바로 하단 가드를 하기 때문에 매우 쉽게 피할 수 있습니다. 
하단가드로 바뀌는 것은 그냥 앉는 것보다 빠릅니다.

 

반응형

'게임 > KOF_분석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격기  (0) 2022.06.30
아테나의 초필살기 분석  (0) 2022.06.29
료의 천지패황권 분석  (0) 2022.06.27
켄수 만두먹기  (0) 2022.06.18
각성야시로 포효하는대지 분석  (0) 2022.06.16
반응형

kof98에서 가불지뢰진은 상대방과 어느정도 합의가 된 상황이 아니라면 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연타잡기 이후에 특정 동작을 해서 가불지뢰진을 넣는 것에 관한 영상입니다.
다이몬의 기본잡기는 총 3개가 있는데 약간 멀리에서 강손으로 잡으면 내려찍는 기본잡기
가까이에서 강손으로 잡으면 연타잡기인 십자조르기를 합니다.

연타잡기는 기본잡기 이지만 기본적으로 아무런 피해없이 잡기를 푸는 것이 불가능하며,
특히 다이몬의 연타잡기는 상대방은 무조건 낙법불가 상태로 다운(강제다운) 됩니다.

가불지뢰진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암묵적으로 동의된 상태로 게임을 하는게 일반적이지만 
드물게 서로 합의하에 가불지뢰진을 허용하고 쓰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때에 한 번쯤 써보면 됩니다.

기본기로 프레임을 맞추는 것은 꽤 까다로운 편입니다만 강제연결을 거의 실패하지 않는 사람이라면 도전해 볼 만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구름잡아던지기와 밑둥뒤집기는 후딜이 완벽하게 같습니다.
영상에서는 백대시의 프레임이 불분명해서 25 ?? 라고 써놨지만
백대시 = MAX람산 둘 다 24프레임으로

MAX람산을 쓴 상황은 백대시를 쓰더라도 가불지뢰진이 가능합니다.

 

아래는 가불지뢰진을 썼을 때 게임이 어떻게 되는지에 관한 영상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다이몬의 지뢰진을 설명하는 영상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초등, 중학교에서 배워보고 한번쯤 해봤을 만한 마찰전기로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장치 반데그라프입니다.

대략적으로 공기중에서 방전 현상이 생기기 위해서는 방전되는 길이가 1mm 늘어날 때마다 약 3kV가 필요합니다.
1 mm = 3천 볼트

1 cm = 3만 볼트
아래의 영상에선 음료수캔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는데
이는 수만 볼트의 전압이 인가되어 공기의 절연파괴가 되는 장면입니다.

 

2012년에 만들었습니다.

반응형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체시력에 관하여  (0) 2022.06.16
기타에서 관찰되는 줄 위의 파동  (0) 2022.06.16
DBD 플라즈마  (0) 2022.06.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