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OF98에서 장풍의 원래의 데미지와 반사된 장풍의 데미지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했었습니다.
- 반사된 장풍의 데미지는 반사하는 캐릭터와 장풍의 커맨드에 따라 데미지가 바뀜

위의 내용을 KOF97에서도 확인해본 영상입니다.
원본의 데미지, 아테나와 치즈루가 반사한 장풍의 데미지, 장풍의 커맨드 [약/강] 순서로 나열했습니다.

상대의 장풍을 트리거로
캐릭터의 고유의 장풍을 돌려주는 오로치와 야마자키의 장풍의 경우
오로치와 야마자키가 이 장풍을 반사 없이 맞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영상에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 반사를 했음에도 장풍의 궤적이 바뀌지 않거나, 장풍이 소멸되는 상황이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KOF는 아랑전설을 베이스로 용호의권의 시스템을 반영시키고
SNK에서 만들었던 다양한 캐릭터들을 출현시켰던 격투 게임입니다.

KOF 참가캐릭터중 한 명인 죠 히가시는
아랑전설1 부터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등장했었던 근본있는 캐릭터이며,
KOF에서 개근까지는 아니지만 대부분의 KOF에서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등장했었습니다.

죠를 상징하는 초필살기 스크류어퍼
KOF96부터 초필살기의 강화버전인 MAX스크류어퍼가 도입되었고
도입당시에는 원거리 장풍 초필살기 중에서 가장 최약체에 해당하는 처참한 성능을 보여줬으나 

다단히트가 정식으로 도입된 KOF97부터 엄청나게 강력해진 성능을 보여줍니다.

KOF97부터 한 번 시전된 죠의 MAX스크류어퍼는
버그를 발생시킨 상황이 아닌이상 장풍이 화면 바깥으로 나가는 순간까지 절대로 소멸되지않습니다.

네스츠편부터 판정 시스템의 변화로
미묘하게 너프가 된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여전히 강력한 장풍입니다.

참고)
98 매츄어의 MAX녹터널라이츠 전용 에보니티어즈, 02 오메가루갈의 2단계 카이저웨이브
죠가 사용하는 MAX스크류어퍼와 최소 동급이거나 보다 윗 등급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팔치녀는 이오리가 사용하는 대표적인 초필살기로
KOF95에서 이오리가 첫 등장할 때부터 사용한 초필살기 입니다.

팔치녀를 사용하면 자세를 낮추어 빠르게 이동을 하는데
이동하는 동안 공중에 떠 있는 일반 장풍을 피하면서 공격하는 용도로 사용을 할 수 있었습니다.

모든 시리즈에서 장풍을 피할 수 있는것은 아니고 어느 시점부터 장풍을 피할 수 없게 됐는데,

가급적이면 동일한 조건에서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같은 장풍을 꾸준하게 사용하는 아테나와 마이를 활용하 팔치녀로 장풍을 피하는 것을 확인해봤습니다.

아테나의 경우 이오리가 첫 등장한 95부터
초필살기의 연계기 크리스탈슛이 사용가능해졌기 때문에 크리스탈슛으로도 테스트를 했으며
마이도 마찬가지로 장풍 초필살기(수조의춤)이 있는 경우 동일하게 테스트를 했습니다.

테스트는 (MAX)팔치녀 vs 사이코볼, 화접선, 크리스탈슛, 수조의춤 를 각각 테스트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KOF95에서는 일반적으로 원거리 장풍이 모두 반사가 가능합니다.
- 94의 경우 원거리 장풍 중 루갈의 카이저웨이브는 반사불가

KOF95 에서는 장풍이 반사가 안 되도록 특성을 바꾸는 버그가 있습니다.
위 영상에서는
- 일반적인 상황에서 장풍반사
- 장풍반사 불가/가능 동시화면 비교
- 버그를 거는 방법 / 해제 방법
등의 내용을 다룹니다.

반응형

'게임 > KOF_버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F 살살 때리면 안 아픈 잠열권  (0) 2023.08.23
KOF 타격반격기 버그  (0) 2023.08.05
KOF 아테나 헤드스핀 버그  (0) 2023.07.29
KOF97 버그 응용영상  (0) 2023.07.27
KOF96 게니츠의 확인사살  (0) 2023.07.26
반응형

KOF에는 장풍에 급이 구분되어 있습니다.
- 장풍의 등급을 나누는 기준은 타쿠마의 장풍을 사용하면 체계적으로 정렬이 됩니다.

호황권급[일반장풍]
- 유리의 패왕상후권, K'의 선글라스(체인드라이브/MAX체인드라이브), 수조의춤, 스트라이커의 장풍
- 네거티브앵귀시(일반장풍2개가 겹쳐진 상태)
- 그 외 일반 캐릭터의 일반장풍

패왕지고권급 [충전을 해도 성능차이없음]
- 패왕상후권(료, 로버트), 크리스탈슛, 사이코볼어택MAX, 
- MAX수조의춤(패왕상후권급 3연발), 굉염란포(패왕상후권급 연발)
- (MAX)초겹쳐치기(소멸이 안 되는 특수한 장풍)

MAX패왕지고권급 [충전시 충전단계에 따라 성능이 바뀜]
- MAX패왕상후권[5발 겹쳐짐], MAX크리스탈슛, MAX사이코볼어택MAX, (MAX)사이코볼어택IIDX
- MAX굉염란포[연발]

그 이상[소멸이 불가하며 MAX패왕지고권을 제거하는 장풍]
- (MAX)스크류어퍼, 티폰레이지

죠의 스크류어퍼, 크리자리드의 티폰레이지의 등급을 확인할 방법이 마땅치않으나
료의 MAX패왕상후권이 MAX패왕지고권 5발을 겹친상태로 구현을 한 것을 참고하면
스크류어퍼나 티폰레이지만을 위한 등급을 별도로 만들지는 않고 MAX패왕지고권급의 공격이 겹쳐진 상태로 추정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KOF94에서 한 화면에 장풍이 두 개가 되도록 하는 버그가 있었습니다.

KOF96에서 이 버그를 재현할 방법이 있는지는 모르겠으나
치트를 통해 한 화면에 두개 이상의 장풍이 나오도록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KOF96에서 장풍치트를 사용 후
장풍과는 전혀 상관이 없어 보이는 초필살기를 사용했을 때 이상한 결과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버그라는 게 원래 이상하게 꼬여있는 것이긴 합니다.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으나 영상을 통해 공통적인 내용을 파악해보면
- 특수한 상황은 상대방을 타격하여 앞으로 끌고 오는 "락온" 기능이 있는 "난무계" 초필살기에서만 발생을 하는 듯 합니다.
  > 즉, 난무와 상관이 없는 매츄어, 레오나는 해당사항 없음
   >> 그런데 장거한의 철구대폭주는 MAX만 가능한 이유는 모르겠습니다. 
    >>> 굳이 추정을 하자면 MAX철구대폭주의 철구대회전 부분이 장풍과 연관이 있어보이긴합니다.
    >>> 그러나 이 내용은 다른 캐릭터에게 적용이 안 됩니다.
- 피격판정이 별도로 남지 않는 난무초필살기 이오리의 MAX팔치녀, 랄프의 말타기발칸펀치는 해당하지 않는 듯 합니다.
- 다른 캐릭터와는 다르게 게니츠의 팔치녀데미지가 늘어나는 특수한 결과가 나옵니다.


반응형
반응형

KOF에는 왕장풍이라고도 부르는 장풍들이 있습니다.
- 왕장풍 : 용호의권에서 처음 등장했던 커다란 장풍 "패왕상후권"

패왕상후권과 유사한 카이저웨이브나, 98야마자키의 배로갚기, 아테나의 크리스탈슛 등등 
패왕상후권과 동급이거나 그 이상의 성능을 갖는 장풍들의 탄속을 비교했습니다.

영상속에서는 되도록이면 장풍이 왼쪽 끝에서 오른쪽 끝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해
타쿠마의 패왕지고권 처럼 장풍을 쏘기 전에 전진하는 상황을 보정하는 방법이 적용되었습니다.
- 영상에서 이 보정방법이 일반적인 상황과 피격조건이 다르지 않다는 것을 검증해뒀습니다.

영상에서 확인된 장풍의 목록입니다.
- 패왕(상후권/지고권)
- 카이저웨이브/그래비티스매쉬
- 크리스탈슛
- 배로갚기
- MAX초화염선풍곤 : 초필살기는 화면 끝까지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비교 대상에서 제외
- MAX스크류어퍼 : 초필살기는 화면 끝까지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비교 대상에서 제외
- 에보니티어즈 : 일반장풍이지만 크기가 패왕상후권과 유사하기 때문에 비교대상에 포함

반응형
반응형

KOF98 어둠쫓기 성능비교 영상에 달렸던 댓글을 기반으로 만들어본 영상입니다.

영상의 모티브

KOF98에서 장풍을 사용하는 캐릭터는 많지만 지면장풍을 사용하는 캐릭터는 6명입니다.
쿄, 이오리, 사이슈 - 어둠쫓기
어둠쫓기를 제외하면 나머지 지면 장풍은 아랑전설에서 온 장풍입니다. 
테리(RB) - 파워웨이브 //
  > 테리의 파이어킥은 KOF97과 비슷한 시기에 출시된 아랑전설RB에서 첫 등장한 필살기입니다.
죠(94) - 허리케인어퍼 
  > 94에서 사용가능했던 기술만 사용가능합니다.
  > UM에서는 RB를 베이스로 한 캐릭터로 바뀝니다.
루갈 - 열풍권 
  > 어둠 쫓기를 제외하면 모두 아랑전설의 캐릭터가 쓰던 장풍입니다.
  > 루갈의 열풍권은 기스의 열풍권이 원조입니다.

영상에서는 
- 장풍의 크기비교
 > 브라이언의 브라이언토네이도, 럭키의 럭키비전으로 피해지는 것으로 확인 각 캐릭터의 장풍 크기를 비교합니다.
- 장풍의 발동속도 
 > 각 캐릭터의 필살기의 시작동작을 동기화한 영상으로 어느 장풍의 가장 빠르게 발동되는가를 확인합니다.
- 장풍을 쏘고난 뒤에 후딜
 > 각 캐릭터가 장풍을 쏘고나서 뒤로걷기를 하는 순서로 후딜을 확인합니다.

의외로 루갈이 최악의 성능은 아닙니다.
이번 영상에서도 이오리 처럼 다른 캐릭터보다 장풍의 공격판정이 1프레임 빠르게 발생하는 캐릭터가 있습니다.

게시글 썸네일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