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OF97부터 정식으로 도입된 이오리의 초필살기 팔주배는 
모으고 있을 때 부분적으로 무적상태가 되며, 팔주배를 사용하는 순간에 잠시 잡기판정에 대해서도 무적상태가 됩니다.

팔주배라는 공격자체가 그다지 쓸만한 공격은 아니기 때문에
상당히 비효율적이긴 하지만 무적판정을 활용하면 팔주배로도 확정적으로 딜캐가 가능해지는 상황이 있습니다.

참고)
KOF를 효율적으로 플레이하려면 기본기로 공격을 시작해야하는데
기본기로 공격을 시작해서 팔주배로 공격을 하는 것은 특수한 상황이 아닌 이상 불가능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KOF를 대표하는 두 캐릭터 쿄, 이오리
이 두 캐릭터는 "삼신기"의 구성원으로 삼신기들이 사용하는 기술명은 "숫자"+"이름"으로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그 여러 기술들 중에서 리108식대사치, 리108식팔주배를 통해서 볼 수 있는 버그가 있습니다.
- 이 버그는 KOF96부터 발생한 버그입니다.
  > 팔주배는 KOF97에서 정식도입되었으나, KOF96에 도입을 시도했었던 초필살기입니다.
    >> KOF96 삼신기[쿄, 이오리, 치즈루] 엔딩에서 이오리가 게니츠에게 팔주배를 사용합니다.
- 쿄는 96~98까지 모두 버그가 걸렸고, 이오리는 98에서만 버그가 걸립니다.
  > 그럴리는 없으나 만약에 이게 이스터에그였다면 의미심장합니다.
  > 팔주배가 사라지기도 했고 98에서 유일하게 버그를 걸 수 있었던 크리스가 99에서는 등장하지않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팔주배는 써 먹을 상황이라곤 도무지 찾을 수 없는 레오나의 그 필살기보다는 쓸만한 타이밍이 있긴한데
사실상 쓰지 않는 것이 좋은 이오리의 초필살기입니다.

팔주배를 맞게되면, 캐릭터가 굳어버리고 아주 조금씩 지속적인 데미지를 입는데
맞은 사람이 얼마나 빠르게 방향/공격버튼을 입력했는가?에 따라 해제까지 걸리는 시간이 단축이 됩니다.

팔주배는 가드를 하더라도 데미지가 전혀 없으니 그냥 막아도 되지만
팔주배를 맞고나서 아무런 입력하지 않더라도 약간의 데미지도 없이 풀려나는 방법이 있습니다.

위 영상은 그런 상황을 모아놓은 영상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오리의 팔주배는 웬만해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기술입니다.
- 사실상 KOF97에서는 팔주배는 설풍 후 귀보를 하기위한 커맨드로 사용되는데에 큰 의미를 갖습니다.

팔주배의 이름을 보면 8개 이라는 의미로 해석이 되는데
이는 일본에서 유명한 이야기인 야마타노오로치라는 뱀과 관련된 이야기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이름입니다. 
- 야마타노오로치는 일본의 서브컬처에서 상당히 자주언급되는 커다란 뱀과 관련된 이야기로
  이 뱀에게 술을 먹여서 재우는 내용이 나오는데 그 때 8개의 술 항아리를 준비하는 것으로 나옵니다.
- KOF시리즈가 해당 이야기를 모티브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었다는 것은
  KOF 첫 주인공 쿠사나기의 이름과 초필살기의 이름인 대사치(오로치나기, 큰 뱀을 베어낸다.)를 통해알 수 있습니다.

KOF96에서는 본격적으로 오로치와 관련된 인물들이 등장합니다.
팔주배라는 기술도 미완성으로 출시됐던 KOF 96의 더미데이터로 발견되었고
가정용으로 출시됐던 게임기에서는 삼신기멤버로 클리어 했을 때 게니츠에게 팔주배를 사용하는 것이 연출됩니다.

불꽃이 붉은 이유는 KOF97 삼신기 엔딩에서 설명됩니다.

게임내에서 팔주배가 정식으로 사용된 것은 KOF97/98이며 이 두 작품에서 초필살기로써 사용이 되었습니다.

97에서는 팔주배와 관련된 여러가지의 버그를 볼 수 있으며,
팔주배를 썼을 때 한정으로 크리티컬히트가 발생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