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OF94의 루갈은 매우 강력한 캐릭터입니다.
SNK 격투게임의 보스캐릭터답게 공격력과 방어력도 매우 높고 성능도 매우 뛰어나지만

이렇게 강력한 초창기의 루갈에게는 다른캐릭터에 비해 유난히 큰 약점이 있는데,
루갈의 약점은 다른 캐릭터에 비해서 더 쉽게 잘 잡히도록 설정이 되어있다는 것입니다.

영상의 초반부는 동일한 공격의  히트백을 발생 시킨 후 대략적인 비교 후
설명에 필요한 판정박스의 역할을 확인한 뒤
구체적으로 다른 캐릭터에 비해서 얼마나 더 잘 잡히게 설정이 되어있는가?? 를 비교합니다.

제목에도 써놨지만 약점을 알고 있는 것과 약점을 공략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입니다.

실력이 있어야 제대로된 공략을 할 수 있지만
약점을 모르면 실력이 있어도 공략을 할 때 어려워집니다.

반응형
반응형

KOF95에서 네오지오의 CPU에 설정된 캐릭터들의 전투패턴으로
사이슈와 루갈을 이길 수 있는가? 확인해본 영상입니다.

전투패턴을 보면 난이도가 높은 것으로 유명했던 95의 사이슈는
캐릭터와의 거리에 따라 견제하는 동작이 적절하게 잘 구성되어 있는 듯 합니다.

옛날 오락실게임으로 출시된 기판에는 미리 설정이되어있는 기능을 on/off 할 수 있는 스위치가 있었고
KOF의 경우 10가지 이상의 스위치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그 중 하나를 켜면 CPU의 끼리 자동으로 전투를 하게되며 CPU에 설정이되어 있는 패턴대로 대결을 하게 됩니다.
이 기능을 사용했을 때 특이사항으로
1. 화면 상단의 점수가 0점으로 고정
2. 1, 2p 누가 이기더라도 YOU LOST 출력

반응형
반응형

어나더 서바이버에서 오메가루갈이 카운터 MAX갤럭티카팬텀을 버티는 상황을 확인하는 영상입니다.
- 편의상 1p는 기무한 치트를 사용했습니다.

참고)
가정용 KOF98에는 어나더 서바이버모드가 있습니다.
- 서바이버모드를 클리어하면 어나더 서바이버모드를 실행하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 스타트버튼 + C + A
  >> A를 누르면 게임이 바로 실행이 되므로, 스타트버튼 + C를 누른상태에서 A를 누르면 실수 없이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일반 서바이버모드는
- (보통) 루갈이나 EX(우라)캐릭터들을 제외한 모든 캐릭터를 상대하는 방식으로 게임이 진행됩니다.
 > EX(우라)캐릭터 : 스타트버튼으로 고를 수 있는 히든 캐릭터, 예) 95쿄, 각성 팀
- 컨티뉴가 가능합니다.

어나더 서바이버모드는
게임 설정상 연관이 있는 캐릭터들의 조합의 에디트팀을 상대해야합니다.
- 예) 주인공(쿄, 테리, 료) 2인자(베니마루, 앤디, 로버트) 등등 [대부분 98팀 일러스트 엔딩 조합으로 소개가 됩니다.]
 > 마지막 11명은 팔걸집 여성멤버, 팔걸집 남성멤버, 삼신기팀, 오메가루갈 1차전, 오메가루갈 2차전으로 고정
- 시간이 무한대로 변경되어 Time over로 이길수는 없으나 체력회복이 최대치가 됩니다.
- 컨티뉴 불가능

반응형
반응형

KOF에서는 루갈이 사용하는 카이저웨이브는 아랑전설의 캐릭터 크라우저의 기술입니다.
- 루갈은 아랑전설의 초대 보스 기스의 열풍권, 두번째보스 크라우저의 카이저웨이브를 사용하는 천재

KOF94~KOF2002 에서 나오는 카이저웨이브는 매번 성능이 다릅니다.
KOF94 : KOF에서는 처음 등장한 카이저웨이브
KOF95 : 94보다 너프된 성능[루갈을 정식으로 선택할 수 있었음]
KOF96 : 크라우저의 원조 카이저웨이브
KOF98 : 루갈, 이때부터 KOF에서도 충전이 가능하게 바뀜
KOF02 : 특이사항이 가장 많았던 카이저웨이브
KOFXI : 카이저웨이브라는 명칭은 아니지만 루갈의 아들인 아델하이드가 G.크론프린츠 라는 이름으로 사용함
 > 카이저와 크론프린츠는 각각 황제, 황태자라는 뜻의 독일어
KOF98UM : 오랫만에 등장한 크라우저, 장풍의 등급만 따지면 너무나 너프를 많이 먹었다.

※ 여담으로 루갈은 항상 카이저웨이브를 필살기로 사용합니다.
- 2002에서 카이저피닉스라는 이름으로 카이저웨이브를 연달아서 사용하는 초필살기가 있음[영상에선 제외]

반응형
반응형

KOF의 보스 캐릭터 루갈
2D로 된 KOF에서 루갈이 한 번 때려서 게임이 끝나는 상황을 모아놨습니다.
- 위 영상에서는 옛 KOF일 수록 타격 횟수가 감소합니다.

루갈은 아래와 같은 기록을 갖고 있는 캐릭터입니다.
- KOF시리즈의 첫 보스
- KOF에서 가장 많이 보스로 등장했던 캐릭터
  > 이것 때문에 취미가 부활이냐 라는 비아냥을 듣게됐고 공식 설정이 됩니다.
  > 의외로 스토리상 부활은 딱 한번입니다. KOFXV
    >> KOF95에서는 안죽고 간신히 탈출 [이때 힘의 폭주로 사망]
    >> KOF98/2002에서는 스토리와 무관한 드림매치 [드림매치이기 때문에 오로치팀이 등장할 수 있었음]
    >> UM은 드림매치를 리메이크한 작품
    >> GB용 KOF 열투, 포켓 KOF 에서도 보스로 등장하지만 당연히 정식 스토리와는 무관

※ 루갈이 자주 부활했다는 느낌이 드는 이유
1994년 : KOF94
1995년 : KOF95[스토리상 사망]
1996년 : KOF95열투[GB]
1998년 : KOF98[스토리와 무관한 KOF드림매치]
1999년 : KOF-R2[네오지오 포켓]
2002년 : KOF2002[스토리와 무관한 KOF드림매치]
2008년 : KOF98UM [루갈 사망 연출에 차이가 없음]
2009년 : KOF2002UM[스토리와 무관한 KOF드림매치의 드림매치]
아래의 쇼츠 영상은 연출상 차이가 없는 98UM을 제외한 각각의 KOF에서 루갈의 사망장면을 모아놨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KOF98은 장풍을 반사했을 때, 원래의 데미지와 반사한 장풍의 데미지가 크게 차이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위 영상에서는 총 11명의 캐릭터를 대상으로 반사를 했으며
- 반사하는 캐릭터
- 어떤 경우에는 캐릭터가 장풍을 쏠 때 사용한 커맨드(강/약)
에 따라 데미지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간단히 이야기하면 아무런 규칙없이 제멋대로 입니다.

특히 빌리의 경우
- 오리지널의 KOF98에서 볼 수 있는 반사 데미지
- 98UM에 이식된 Neogeo-mode(98)에서의 반사데미지
가 다르게 바뀌어있는데, 다른 캐릭터의 반사 데미지가 그대로이고 다른 버그들도 그대로 남아 있는 것으로 볼 때 
SNK가 의도를 하고 데미지를 개선한 게 아니고 그냥 게임을 다른 플랫폼으로 이식하는 것으로 인해 데미지가 변형이된
전형적인 버그의 예시라고 추정됩니다.

각각의 경우에서 반사의 데미지가 가장 많이 경향성은 각각 다릅니다.
그런데 그런 상황에서 치즈루의 반사 데미지가 가장 강한 경우는 단 한 번도 없었습니다.

참고로 야마자키의 배로갚기는 반사가 아닙니다. 그냥 야마자키의 고유의 장풍을 쏘는 것입니다.

게시글 썸네일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