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OF에서는 낙법이 불가능한 다운 상태를 강제다운이라는 용어로 표현합니다.
다이몬의 공격 중에서는
구슬깨기(→A), 십자조르기(연타기본잡기), 원거리 기본잡기(C), 밑둥뒤집기, 구름잡아던지기, 초바깥다리후리기, 천지뒤집기, 뿌리뒤집기(반격기), 람산(폭풍의산뿌리뽑기), 지옥극락떨구기(MAX초필살기인 경우 낙법이 가능한 캐릭터가 있음) 등의 공격이 강제다운 공격입니다.

이 공격들 중에서 원거리 기본잡기는 잡기 풀기가 가능하므로 제외하고
구슬깨기는 밑둥뒤집기로 연계확정이므로 밑둥뒤집기의 가불만 알면 충분합니다.
구름잡아던지기 밑둥뒤집기와 완벽하게 후 상황이 일치합니다.
람산의 경우 기폭을 하지 않았을 때는 2단계 후 밑둥뒤집기로 연계되고 기폭 후에는 3단계의 마무리가 구름잡아던지기 입니다.
지옥극락떨구기는 기폭 한정으로 친겐사이에게 가불지뢰진이 가능합니다.
뿌리뒤집기는 상당수의 캐릭터가 고로의 후딜이 풀린 직 후 13 F 보다 빠르게 기상하며, 가불루트가 있는 캐릭터라도 기본기로 프레임을 맞춰야 하므로 영상에 넣지 않았습니다.

아래의 영상에서는
1. 십자조르기, 2. 초바깥다리후리기(일명 샅바), 3. 천지뒤집기, 4. 밑둥뒤집기 순서로 가불지뢰진을 연속해서 보여드립니다. 캐릭터 별로 챕터구분이 되어 있으니 캐릭터별 시간대를 선택하셔서 보시면 됩니다.

 

프레임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기본기는 AB, ABC, CD를 원활하게 발동시키기 위해서 3프레임의 유예 프레임이 지난 이후에 발동되지만
강제다운 공격을 하고 난 뒤에 적정타이밍에 입력하면 유예 프레임이 공격 후딜시간과 겹쳐지며, 유예프레임 없이 발동시킬 수 있습니다.

13 F ↓A, 근거리 A
15 F 원거리 A, ↓B 
16 F CD캔슬
19 F 원거리 B
20 F 근거리 B
21 F 근거리 C
23 F ↓D
24 F MAX람산, 백대시
26 F 근거리 D, 람산
27 F 원거리 D
28 F ABC, ↓C
29 F 뿌리뒤집기(반격기)
32 F 초바깥다리후리기, 두상치기
33 F 초낙법(B)
34 F 원거리 C
35 F 페이크지뢰진
36 F 천지뒤집기
37 F 지옥극락후리기
38 F 잔상대점프
41 F 초낙법(D)
45 F CD캔슬없이
52 F 구슬깨기
53 F 구름잡아던지기, 밑둥뒤집기

게시글 썸네일용 이미지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난무기, 첫 타를 때리면 상대방을 앞으로 고정시키고 난 뒤에 난타를 하는 기술
상대방을 다운시키는 원호공격 두 가지를 조합시키면 볼 수 있는 버그가 여러가지 있습니다.

위의 조건을 만족한 이후에는 상대의 난무기를 맞더라도 마치 슈퍼아머가 있는 것 처럼 움직이는 것이 가능한데 
이때 특정조건을 만족시키면 볼 수 있는 버그를 모아놓은 영상입니다.

위의 영상에서 버그는 아래와 같이 나누어집니다.
- 모든 캐릭터들이 공통적으로 누워서 달리는 것이 가능합니다.
- 장풍대신에 자기 자신을 발사합니다.
- 피격되지않는 한 무한히 공격을 반복합니다.
- 올라가서 안 내려옵니다.
- 기술을 쓰다가 평상시와는 다르게 위로 떠오릅니다.
- 빨라집니다. [후딜이 감소되는 경우 포함]
- 느려집니다.
- 장풍판정을 갖는 것 들이 사라집니다.
- 멈춥니다.
- 자기자신을 복제합니다.
   복제된 캐릭터를 때렸을 때 
     > 리셋된다.
     > 쿄의 목소리가 나면서 승패가 결정된다.
     > 난무기로 때리면 화면이 깨지면서 느려짐

백대시를 쓰면 뒤로 넘어지지만 이때 점프 후 쓸 수 있는 커맨드 특수기나 필살기를 쓰면
넘어지는 도중에 해당 커맨드가 써집니다.

머리만 남은 클락, 파란 차 바퀴부근에 머리가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치즈루 무적버그가 걸렸을 때 웬만한 공격은 다 빗나가는 모습

KOF시리즈에는 다양한 버그가 있습니다. 게임에 전혀 도움이 안 되는 버그가 있는가 하면
성능이 월등하게 좋은 캐릭터이면서 버그까지 성능이 좋은 경우도 있습니다.

위 이미지에서 나오는 버그를 걸기 위해서는 1p, 2p 두 사람의 합이 맞아야 하는데,
버그를 발동시키는 조건이 꽤 단순한 편이고, 버그를 거는 상황을 어느 정도는 유도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전에서도 충분히 사용가능한 버그입니다.

이 버그는 최대 한 라운드 동안 지속이되며, 라운드가 끝나기 전에 버그를 해제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치즈루를 사용하는 사람의 시점으로는 버그를 유지하기 위해 피해야할 상황으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버그를 해제하는 방법중에 뒷 부분에 나오는 방법은 해제하는 순간이 또 버그의 연장선입니다.

해당 상황을 응용하면 절명이나 평상시에는 불가능한 큰 데미지를 주는 것이 가능합니다.

아래의 영상은 그러한 상황을 모아서 편집해둔 영상으로,
치즈루의 무적버그는 실전에서 쓸 방법이 있으나 아래와 같은 상황을 실전에서 쓴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다이몬 고로는 KOF94에서 처음 나온 KOF 오리지널 캐릭터로
KOF의 대표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지뢰진이라는 기술을 가지고 있는 캐릭터입니다.

KOF94에서 처음 등장한 이 기술에는 독특한 버그와 제작진이 의도해서 넣은 이스터에그가 있었고,
이 이스터에그는 KOF95까지 이어집니다.

그리고 KOF94의 스토리 상 우승팀이 일본팀이라는 것과
KOF95가 작중 1년 후를 그린 작품이라는 스토리를 기반으로 생각해보면
스토리를 기반으로한 소소하고 재미있는 연출이 지뢰진을 쓰는 장면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본 게시글 썸네일용 이미지 입니다.

반응형

'게임 > KOF_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F98 어딘가 닮은 그 캐릭터  (0) 2022.12.07
KOFXV 게닛츠 부활 확정  (0) 2022.08.05
KOF97 팔주배  (0) 2022.07.16
동물이 나오는 초필살기 연출  (0) 2022.07.07
KOFXV에서 부활한 캐릭터, 부활예정? 인 캐릭터  (0) 2022.07.05
반응형

게임 설명
Abort, Retry, Fail is a top-down roguelike action adventure in which you play as a lazy programmer that has to generate his own weapon and shoot his way through hordes of enemies. Are you brave enough to help him escape from computer hell of Windows 98?

스팀에서 무료로 플레이할 수 있는 인디게임 Abort Retry Fail은 로그라이크 액션게임으로 게임의 목표는 적들을 해치우고 컴퓨터 지옥에서 탈출하는 것입니다.

주인공은 게으른 프로그래머라고 설명되어 있지만
게임인트로 장면에서 밸브코퍼레이션 CEO 게이브뉴웰도 나오는걸 보면, 아마도 게임 개발자의 오너캐인듯 합니다.

플로피디스켓을 써본사람이라면 빡침이 올라오는 그 문구 Abort, Retry, Fail?

ARF(Abort, Retry, Fail)은 20세기 디스켓을 써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이상은 봤었을 그 메세지 
디스켓 읽기 실패를 하고 어떻게 할 건지 물어보는 그 문구...
디스켓 교체를 하다가 넣는걸 깜빡했을때도 볼 수 있지만 디스켓 특유의 취약한 내구도?? 때문에 데이터가 날아갔음을 의미하는 메세지...이기도 합니다.

제목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20세기에 컴퓨터를 사용해봤을 나이대를 겨냥해서 출시한 인디게임인데

대부분의 인디게임이 그렇듯이 완성도는 그리 높지않습니다.
그럼에도 스팀에서는 매우긍정적이라는 평가가 되어있길래 게임을 해봤는데

두 번은 안 해볼 것 같은 게임입니다.
게임 용량이 100메가 가까이 되는데 이런 퀄리티라면 옛날 90년대에도 안 했을 것 같습니다.

디스켓 하나에 들어갈 용량으로 퀄리티 높은 게임을 만들었던 게임 개발자들에게 존경심을 느끼게하는 게임이었습니다.

반응형

'게임 > 인디게임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탈슬러그 팬 게임 Aqua ippan  (0) 2023.05.27
반응형

초필살기를 쓸 때 화면이 하얗게 빛나고 어두워지는 암전이 발생합니다.

초필살기 암전현상

이는 KOF97부터 새로 도입되었던 게임상의 연출으로 초필살기를 쓸 때 다른 모든 것이 정지하고 초필살기를 사용한 캐릭터만 움직임으로써 엄청나게 빨리 진행되는 동작임을 게임상의 시스템으로 표현한 장면입니다.

대부분의 캐릭터들은 초필살기를 사용한 뒤에 화면이 밝아진 순간 부터 잡히지 않도록 설정이 되어 있는데, 
제작진의 실수인지 마이의 초필살인봉(MAX제외), 헤비디의 D.크레이지 등등의 몇가지 초필살기는 화면이 밝아진 순간까지 잡히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 밝게 빛나는 순간에 잡으면 평상시에 볼 수 없는 상황을 볼 수 있으며,

영상도입부 샘플, 도입부분


이 버그로 볼 수 있는 상황에는 규칙이 있습니다.

아래의 영상에서는 게임의 버그에 대한 설명과 버그 적용 사례를 보여드립니다.

버그를 보기 위해서는 초필살기를 사용한 특정 순간에 잡아야 하기 때문에 쉽게 볼 수 없으며
특히 콤보를 신경쓰면서 플레이를 하는 경우에는 거의 볼 수 없습니다.

게임을 아무렇게나 막하는 식으로 하다보면 볼 가능성이 약간 올라갑니다.

반응형
반응형

96부터 새로 등장했던 랄프의 필살기, 일본 특유의 발음 때문에 날으는킥으로 더 유명한 랄프킥입니다.

랄프킥

판정자체는 나쁘지 않지만 느린 발동속도로 인해 KOF98에서는 봉인기 취급합니다.
이걸 주력기로 사용한다는 것은 초보일 확률이 높습니다.

랄프킥이 갖는 특징 중 하나는 크리티컬히트입니다.
KOF에서 크리티컬히트 하면 신고가 유명하지만 사실 크리티컬히트의 원조는 랄프의 랄프킥입니다.
KOF96 부터 랄프킥을 맞췄을 때 크리티컬히트가 발생했으며, 96에서는 가드를 하더라도 크리티컬히트라고 메세지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 KOF96에서는 랄프의 랄프킥, 레오나의 문슬래셔
  - KOF97/98에서는 랄프의 랄프킥, 이오리의 팔주배, 신고의 각종 커맨드에서 크리티컬히트를 볼 수 있습니다.

KOF98에서는 상당히 낮은 확률로 크리티컬히트가 발생하는데,
"크리티컬" 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데미지의 증가는 거의 없습니다.

KOF98에서는 크리티컬히트는 신고를 제외하면 데미지 증가 보다는 경직시간 증가로써 의미를 갖는 판정인데,
98에서는 피격된 캐릭터만 경직시간이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타격한 캐릭터의 경직이 늘어날 때도 있기 때문에
실전에서 랄프킥의 크리티컬히트를 유용하게 쓰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랄프킥은 카운터로 맞추지 않더라도 항상 추가타가 가능합니다.


랄프킥의 타격판정은 호황권이나 사이코볼을 피할 수 있을 정도로 자세를 낮추면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면 무적판정이나 가드포인트가 없더라도 파훼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버그를 거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폭탄으로 카운터 히트시키면서 KO가 될 때 V슬래셔를 맞추면 됩니다.
단, V슬래셔를 맞추고 나서 V가 나오면 버그에 걸리지 않은 상태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료, 유리, 아테나, 빌리의 버그가 볼 만 했습니다.
특히, 빌리의 버그는 조금만 다듬어서 초필살기로 쓰면 격겜 특유의 허세넘치는 장면을 잘 녹여낼 수 있을 듯합니다.

버그를 걸고나서 생기는 유형은 아래와 같습니다.
V슬래셔를 맞은 캐릭터가
1. 공격을 한다.
  1-1. 공격을 했는데 빗나간다.
  1-2. 공격을 해서 맞춘다.
2. 뭔가 평상시에 볼 수 없는 초필살기를 쓴다.
3. 일반적으로 나올리가 없는 소리가 나온다.
4. 평상시에 볼 수 없는 공격을 한다.
5. 아무것도 안함
6. 무언가로 변함
7. 뭔가 자세를 취함
8. 멈춤

버그가 걸리면 기본적으로 레오나가 승리포즈를 취하지 않고 
V슬래셔를 맞은 적은 쓰러진 상태가 아닌 뭔가 다른 상태가 됩니다.

아래는 본 게시글 썸네일용 이미지 입니다.

썸네일용 그림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