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OF98에는 다양한 히든캐릭터 있습니다.
- 쿄, 테리, 앤디, 죠, 료, 로버트, 유리, 마이, 빌리, 야시로, 셸미, 크리스, 오메가루갈(콘솔한정)
KOF98의 전작인 KOF97에도 히든캐릭터가 있었는데
외형이 다른 오로치의 힘을 각성한 5캐릭터 외에도 94버전의 쿄를 선택할 수 있었습니다.
- 94버전의 쿄는 쿄를 스타트 버튼을 누른채로 선택하면 됩니다.

이렇게 고른 쿄를 94버전이라고 할 수 있는 이유는
사용할 수 있는 필살기, 초필살기가 94에서 사용가능했던 초필살기만 사용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 KOF94에서 필살기어둠쫓기(장풍), 귀신태우기(대공기 손), 농차(대공기 발)/초필살기 대사치
- KOF95에서는 필살기 금월양이 추가가 됐고, 기본기였던 "75식 개"가 필살기로 승격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고른 노멀 쿄와 94쿄의 귀신태우기는 외형상으로는 차이가 없으나 공격판정 피격판정이 다릅니다.
- KOF96 부터 가드포인트가 도입되어 쿄의 대공기 귀신태우기는 무적시간이 줄어들고 가드포인트가 적용되었습니다.
   > 가드포인트 "특정 순간에 상대의 공격을 자동으로 막아 수행하던 동작을 계속 수행하게 돕는 기능"
- KOF94에서는 가드포인트가 없었기 때문에 대공기를 강/약 어느것으로 쓰더라도 무적시간이 있습니다.
- KOF94에서 장풍의 판정이 상당히 작았었는데 이것으로 인해 야마자키나 각성셸미의 필살기를 무력화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필살기가 상당히 적었고 강력한 초필살기 무식을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94쿄를 사용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블루마리는 아랑전설 출신 캐릭터로 KOF97부터 참가한 캐릭터입니다.
블루마리의 필살기상당수가 "잡기"로 구성되어 있는데 다른 캐릭터와는 다르게 단순히 잡기만 하는 것이아니라
타격기 이후에 추가 커맨드를 입력하여 잡기가 되는 특수한 필살기가 있습니다.

알아둬야 할 것이 있습니다.
KOF의 피격판정은 잡기/장풍에 관한 일반적인 피격판정 그리고 잡기에 대한 피격판정 두가지의 피격판정이 있습니다.
- KOF96 이후 지뢰진에 피격이 있긴하지만 이는 피격판정이 아닌 캐릭터의 위치판정의 상태에 의존합니다.

두가지 피격판정 중에 잡기에 관련된 피격판정에는
"공중에서 피격된 캐릭터는 잡기 피격판정이 잠시 사라지는 특수한 설정"이 붙어있습니다.
- KOF94에서는 착지 후 이 것이 복원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 아마도 대공기로 격추를 시킨 이후에 공중잡기가 가능한 캐릭터들의 추가타를 막기 위함으로 보입니다.
  > 예시 하이데른 문슬래셔 + 하이데른인페르노(공중잡기)

블루마리의 필살기 버티컬애로우 + M.스내쳐는
상대방을 타격기로 띄운 이후에 잡는다라는 특수한 필살기이다보니,
공중에서 피격된 캐릭터의 잡기피격판정을 복원하는 기능을 넣어야했습니다.

여기서 문제는 블루마리의 필살기에 이러한 기능을 넣을 때, 제한조건을 따로 지정하지 않아서
버티컬애로우에 피격되지 않은 캐릭터에게 M.스내쳐 커맨드를 입력하더라도 이 기능이 활성화가 되었기 때문에

M.스내쳐는 공중에 떠있는 캐릭터라면 항상 잡을 수 있는 필살기로 마치 절대판정 처럼 쓸 수 있는 필살기가 되었습니다.
- M.스내쳐는 절대판정과는 다르게 상대방의 피격판정을 복구해놓는 기능이 붙어있기 때문에 약간 다릅니다.

간결하게 설명하기 위해 썸네일에서는 버그 라고 써 놨지만 
사실 작동하는 과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이 기능이 동작하는 범위/제한조건을 지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입니다.

굳이 이야기 하자면 철권의 브라이언 도발로 가드를 깨는 단순한 기능을 공격 테크닉에 활용한 사례랑 약간 비슷합니다.
다만 철권의 사례는 까다로운데, KOF97의 블루마리의 사례는 하는 방법이나 입력타이밍이 너무 쉽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M.스내쳐를 클락의 네이팜스트레치처럼 타격판정으로 했으면 큰 문제가 없었을 듯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KOF97은 새로운 초필살기가 대량으로 추가가 됐었습니다.
켄수의 초필살기 선기발경, 기폭 후 사용하는 MAX선기발경을 썼을 때 볼 수 있는 버그가 있었습니다.

KOF97에 있었던 켄수의 이 버그는
버그를 거는 법이 너무 간단하고, 게임을 할 때 의도적으로 "버그를 걸어야겠다." 라는 생각으로 게임을 하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걸게되는 버그라서 게임 플레이 타임이 쌓이면 너무나 자연스럽게 발견되는 버그였습니다.

푸는 법도 버그를 풀어야겠다 라는 생각으로 게임을 하지 않아도 버그를 풀 수 있어서,
매번 똑같은 패턴으로 게임을 하는 사람을 볼 수 없었던 버그이기도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KOF에서 크리티컬히트는 KOF96 랄프의 랄프킥을 통해 도입된 시스템으로 98까지 이 시스템이 유지되었습니다.
- 최근 공개된 KOFXV DLC 캐릭터 신고의 트레일러를 통해 XV에서도 시스템이 부활 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KOF97, 98 에서는 랄프, 신고, 이오리가 공격했을 때 크리티컬 히트를 볼 수 있습니다.

크리티컬히트의 가장 큰 특징은 경직시간이 증가한다는 것 입니다.
시리즈마다 크리티컬히트의 성능이 바뀌었지만 경직시간 증가 만큼은 계속 있었습니다.
- 96은 가드를 하더라도 크리티컬히트가 발생
- 98은 타격한 캐릭터에게도 경직시간이 증가
- 98UM은 카운터 타격과 비슷한 효과를 보입니다.

신고의 크리티컬히트의 효과를 크게 볼 수 있는 기술은 황물기, 신고킥, 초필살기 구봉린 등이 있습니다.
- 황물기는 황물기 후 황물기를 추가타로
- 신고킥은 상황에 따른 추가타
- 구봉린은 MAX구봉린을 써서 크리티컬히트가 발생했을 때 상황에 따라 구봉린을 추가로 쓰는 것이 가능합니다.
  > 97에서는 MAX구봉린, 구봉린, 추가타를 통해 절명을 보기가 비교적 쉽습니다.
  > 신고는 96카스미의 초겹쳐치기에 이어서 자발적으로 MAX초필살기 + 초필살기가 가능했던 캐릭터 입니다.

게시글 썸네일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오리의 팔주배는 웬만해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기술입니다.
- 사실상 KOF97에서는 팔주배는 설풍 후 귀보를 하기위한 커맨드로 사용되는데에 큰 의미를 갖습니다.

팔주배의 이름을 보면 8개 이라는 의미로 해석이 되는데
이는 일본에서 유명한 이야기인 야마타노오로치라는 뱀과 관련된 이야기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이름입니다. 
- 야마타노오로치는 일본의 서브컬처에서 상당히 자주언급되는 커다란 뱀과 관련된 이야기로
  이 뱀에게 술을 먹여서 재우는 내용이 나오는데 그 때 8개의 술 항아리를 준비하는 것으로 나옵니다.
- KOF시리즈가 해당 이야기를 모티브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었다는 것은
  KOF 첫 주인공 쿠사나기의 이름과 초필살기의 이름인 대사치(오로치나기, 큰 뱀을 베어낸다.)를 통해알 수 있습니다.

KOF96에서는 본격적으로 오로치와 관련된 인물들이 등장합니다.
팔주배라는 기술도 미완성으로 출시됐던 KOF 96의 더미데이터로 발견되었고
가정용으로 출시됐던 게임기에서는 삼신기멤버로 클리어 했을 때 게니츠에게 팔주배를 사용하는 것이 연출됩니다.

불꽃이 붉은 이유는 KOF97 삼신기 엔딩에서 설명됩니다.

게임내에서 팔주배가 정식으로 사용된 것은 KOF97/98이며 이 두 작품에서 초필살기로써 사용이 되었습니다.

97에서는 팔주배와 관련된 여러가지의 버그를 볼 수 있으며,
팔주배를 썼을 때 한정으로 크리티컬히트가 발생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