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OF97부터 등장한 KOF의 오리지널 캐릭터 크리스는
초필살기 트위스터드라이브를 사용할 때 "진심으로 하겠습니다."[本気出しますね!] 라는 대사를 합니다.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버그가 발생하면
크리스의 진심이 너무 지나치게 넘쳐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영상에서는 체인슬라이드터치의 버그를
이번 영상의 버그를 보기위한 과정으로 그냥 넘어갔지만 체인슬라이드터치의 대사도 만만치않게 상황과 잘 어울립니다.

참고) 위의 일본어 대사 번역 중 "진심"에 관해서
KOF의 크리스가 초필살기 대사로 사용한 사용하는 "진심"으로 하겠습니다,의 "진심"은 "本氣[홍키]"로 표준어입니다.
최근에 치지직으로 인해서 다시 주목을 받았던 만화 원펀맨을 보면
원펀맨의 주인공 사이타마가 
"진심" 펀치와 같은 "진심"이라고 번역된 수식어가 붙는 강력한 공격을 사용하는데
원펀맨에서 "진심"으로 번역된 일본어는 "マジ[마지]"라는 표현으로 약간 급식체와 비슷한 느낌의 가벼운 신조어입니다.

まじめだ[진지하다 성실하다.] → マジ[(약간 가벼운 말투)]

반응형
반응형

KOF98에서 장풍의 원래의 데미지와 반사된 장풍의 데미지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했었습니다.
- 반사된 장풍의 데미지는 반사하는 캐릭터와 장풍의 커맨드에 따라 데미지가 바뀜

위의 내용을 KOF97에서도 확인해본 영상입니다.
원본의 데미지, 아테나와 치즈루가 반사한 장풍의 데미지, 장풍의 커맨드 [약/강] 순서로 나열했습니다.

상대의 장풍을 트리거로
캐릭터의 고유의 장풍을 돌려주는 오로치와 야마자키의 장풍의 경우
오로치와 야마자키가 이 장풍을 반사 없이 맞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영상에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 반사를 했음에도 장풍의 궤적이 바뀌지 않거나, 장풍이 소멸되는 상황이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KOF97에서 레오나는 이오리처럼
속도와 공격력이 업그레이드된 히든캐릭터 "한밤에 오로치의 피에 눈뜬 레오나"가 있습니다.

이오리와 마찬가지로 이름이 너무 길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히든캐릭터를 정식 이름으로 부르는 경우는 거의 없고
간단하게 "미친레오나, 폭주레오나, 초레오나" 라는 식으로 부릅니다.

위 영상에서는
폭주 전/후 성능이 바뀌는 것이 있다면 얼마나 어떻게 바뀌었는가?? 를 확인합니다.
1. 공격력
2. 확실한 성능차가 있는 공격
3. 폭주전후 이동 속도차이
4. 미러전을 통한 발동속도 차이비교
- MAX그래비티스톰에서 성능차이가 발생하는데, 그냥 발동속도라고 이야기했지만 두번째 공격판정 구현이 빠릅니다.
5. 피격판정차이
- 이오리와 같은 상황입니다.
6. KOF2002의 폭주상태와 비교
7. 판정을 구체적으로 비교
- MAX그래비티스톰의 판정이 구현되는 속도가 다름, 후딜차이가 있는 경우 느리게 재생을 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KOF97에서 이오리 두명으로 만들 수 있는 버그를 몇가지 모아놓은 영상입니다.

첫번째로 나오는 팔치녀 버그는 상황은 조금 달라지더라도 95부터 가능합니다. 
- 00은 마지막 잡기가 자동으로 중단됩니다.

팔치녀 버그로 부터 분신이 발생하는 버그는
팔치녀외에도 난무계열 초필살기라든가 기타 다른 상황으로도 만들 수 있습니다.

원래는 다른 버그를 만들어보려고 했는데 생각처럼 결과물이 안 나오네요

참고)
이오리의 팔치녀로 K.O.가 되는 순간 마지막 대사인 시네!!(죽어라!!)가 나오지않습니다.
옛날 KOF가 구동되던 Neogeo의 하드웨어의 한계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그 당시 하드웨어로는 동시에 출력가능한 소리의 종류가 많을 수가 없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KOF97에는 "달밤에 오로치의 피에 미친 이오리"라는 히든 캐릭터가 나옵니다.
- 일반적으로 정식명칭으로 부르는 사람은 없고 미친이오리, 폭주이오리, 초이오리라고 부릅니다.

이오리와 미친이오리는 성능차이가 있는데
어떻게 얼마나 차이가 나는가?를 좀 정량적으로 분석해 봤습니다.

예를 들어서
미친이오리는 이오리보다 달리기가 얼마나 빠른지?
앞으로/뒤로 걸을 때는 얼마나 더 빨리 걷는지?
점프를 뛸 때는 얼마나 더 빨리 뛰는지?
같은 구간을 이동하여 그 속도를 비교했습니다.
[캐릭터의 중심위치의 속도[dot/s] 비교하면 되는데, 시각적으로 별로 와닿지가 않아서 하지 않았습니다.]

특정 기본기나 필살기[기를 소모하지 않는 커맨드]의 경우
발동속도, 후딜, 그리고 성능에 분명한 차이가 있어서 그 차이를 명확히 확인 할 수 있도록 영상을 구성했습니다.

영상의 구성은 아래와 같은 순서로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1. 미러전으로 발동속도의 차이를 비교
 - 특정 기본기, 특정 필살기는 발동속도에 차이가 있습니다.
2. 이동속도를 비교
 - 폭주 후가 빠른데 얼마나 빠른가?
3. 분명한 성능차이가 있는 경우 그 차이를 비교
 - 폭주 후가 유리하기도 하고 불리하기도 합니다.
4. 이오리의 폭주 전/후 동일하게 발생하는 버그
 - 귀보의 경우 96,97 모든 캐릭터에게 발생하는 버그이므로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5. 폭주 전/후 기상성의 변화
6. 피격판정
 - 쉽게 재현가능하고 분명하게 차이나는 상황으로 영상을 구성했으나,
   가만히 있으면 특정 공격에 높이차이로 덜 맞거나 거리차이로 더 맞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7. 특정 이벤트
8. 판정 및 후딜 확인

이오리가 폭주후에 빨라진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상황의 예

반응형
반응형

 KOF2002에서 레오나는 특정 커맨드를 입력하면 폭주 상태가 됩니다.

97에 등장했었던 "한 밤에 오로치의 피에 눈을 뜬 레오나" 일명 "미친레오나" "폭주레오나"를 오마쥬한 시스템인데
97에서는 미친레오나는 보통의 레오나와 다르게 방어력이 매우 낮은 캐릭터였습니다.

KOF02에서
방어력이 가장 높은 루갈과 가장 낮은 이진주에게
다양한 공격을 함으로써 동일한 공격이더라도 방어력으로 인한 데미지 차이가 있음을 확인 후

레오나와 폭주 상태가 된 레오나에게도
위의 공격들을 사용하여 방어력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을 해봤습니다.

참고)
네오지오로 출시됐던 KOF는 데미지에 랜덤치가 적용된다는 것을 잘 생각해야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KOF에서 캐릭터끼리 서로 마주보고 이동을 하면 상대방을 밀어냅니다.

97에서 각각의 캐릭터를 마주보는 상태로 달리게 하여 어떤 캐릭터가 가장 잘 밀어내는가?? 를 확인했습니다.

※ 아래와 같은 순서로 영상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예선전
각 팀멤버끼리 가장 잘 밀어내는/밀려나는 캐릭터가 누구인지 확인
2. 번외
[각성 전/후]의 일반캐릭터와 히든캐릭터끼리 밀어내고 결과를 확인
3. 본선
셀렉트 창에서 각 줄에 있는 캐릭터들 중에 가장 잘 밀어내는 캐릭터가 누구인지 확인
4. 준결승
첫번째 줄 대표 vs 두 번째 줄 대표 누가 더 잘 밀어내는가?
세번째 줄 대표 vs 팀없는 캐릭터 2인 중 대표 누가 더 잘 밀어내는가?
5. 결승
일반 캐릭터 중에서 가장 잘 밀어내는 캐릭터 확인

6. 히든캐릭터를 포함했을 때 누가 가장 잘 밀어내는가?

7. 번외
가장 잘 밀려나는 캐릭터 //
여기까지 진행하면 캐릭터가 마주보고 밀어낸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8. 수치적으로 해석하기
게임을 하는 사람은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수치적인 데이터"가 "계산된 값이 출력"되는 것을 보게됩니다.
그 의미를 동일한 상황에 다른 조건을 부여하여 얻을 수 있는 측정값으로부터 추론합니다.

이런 계산에는 웬만하면 사칙연산밖에 사용되지 않으므로 누구나 쉽게 추론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KOF는 용호의권과 아랑전설의 캐릭터들이 대결을 하면 누가이길까? 라는 이야기에서 시작된 게임입니다.
- KOF94의 인트로 화면을 보면 아랑전설의 테리, 용호의권의 료가 서로 도발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관심은 용호의권과 아랑전설의 주인공들로 모았지만
정작 게임의 주인공은 오리지널 캐릭터인 쿄를 등장시키면서 새로운 이야기를 전개합니다.

그리고 게임이 성공하자
대략적으로 준비했던 스토리를 기반으로 본격적인 KOF가 시작이되는데,
KOF95부터 KOF97까지가 KOF의 전성기였던 오로치사가입니다.
KOF98은 오로치사가에 나왔던 캐릭터들이 스토리와 상관없이 대결하는 드림매치입니다.
- 오로치편의 보너스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오로치편에 등장했던 보스 캐릭터는 오메가루갈, 게니츠, 오로치 세명입니다.
오메가루갈 : 오로치의 힘을 부분적으로 사용하게 됨
게니츠 : 오로치를 숭배하는 팔걸집의 수장
오로치 : 오로치사가의 최종보스

세명의 보스는 일반 캐릭터로는 따라할 없는 보스전용 특권이 있습니다.

참고)
영상에서는 KOF94가 오로치편의 프리퀄에 해당하기 때문에
94의 보스인 루갈도 영상에 넣어놨습니다.

스토리의 정점을 찍은 오로치의 특권이 가장 많아야되는데
게임의 초기작이었던 루갈의 특권도 꽤 많습니다.

94루갈이 갖고 있는 특권 중
장풍과 연관이 있는 특권은 버그를 이용하면 다른 캐릭터도 사용 가능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