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OF98에서는 캐릭터가 늘어나는 버그가 여럿있습니다.
이번 영상에서 나오는 버그는 헤비디를 이용해서 상대의 캐릭터를 둘로 만드는 버그입니다.
※ 인체연성이라는 용어는 만화 강철의연금술사로 유명해졌었습니다.

버그를 쓰는 방법은 상대의 캐릭터가 장풍을 쏘는 순간 캐릭터를 "카운터" 판정이 나오도록 CD로 날린 후
헤비디의 초필살기 D.매그넘을 써서 상대의 캐릭터에 추가타
를 넣으면서 상대가 발사한 장풍에도 D.매그넘이 닿으면 장풍이 캐릭터로 바뀝니다.

- 장풍이 캐릭터로 바뀌는 버그는 이전에 업로드 했었던 블루마리의 버그에서도 나온적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히트스탑이 발생했을 때
"장풍"을 인식하는 판정박스가 캐릭터의 판정박스와 뭔가 버그로 인해 연결점이 생기는 모양입니다.

이 버그는 캐릭터가 늘어난 후에 상황이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집니다.

 

반응형
반응형

팔주배는 써 먹을 상황이라곤 도무지 찾을 수 없는 레오나의 그 필살기보다는 쓸만한 타이밍이 있긴한데
사실상 쓰지 않는 것이 좋은 이오리의 초필살기입니다.

팔주배를 맞게되면, 캐릭터가 굳어버리고 아주 조금씩 지속적인 데미지를 입는데
맞은 사람이 얼마나 빠르게 방향/공격버튼을 입력했는가?에 따라 해제까지 걸리는 시간이 단축이 됩니다.

팔주배는 가드를 하더라도 데미지가 전혀 없으니 그냥 막아도 되지만
팔주배를 맞고나서 아무런 입력하지 않더라도 약간의 데미지도 없이 풀려나는 방법이 있습니다.

위 영상은 그런 상황을 모아놓은 영상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야마자키의 초필살기 드릴은 잡기로 시작해서 타격판정으로 때리는 독특한 초필살기 입니다.
드릴을 사용 후 캐릭터를 올려치고 A, C를 얼마나 연타하느냐에 따라 1~4단계로 나누어지는데,
여기에서 3단계의 드릴 성능이 약간 독특합니다.

1,2,4 단계는 올려친 이후에 바로 타격기가 이어지지만
드릴 3단계는 바닥에 떨어진 캐릭터를 들어올리고 난 뒤에 동작이 이어지기 때문에
원호공격으로 캐릭터를 튕겨내서 바닥에 있어야할 캐릭터가 없어지면,
초필살기가 도중에 캔슬이 되고 이로 인해서 상당히 독특한 상황이 만들어집니다.

버그로 인해 발생한 상황을 간단히 말씀드리면 히트/가드스탑이라고 부르는 경직이 사라집니다.

치트를 통해서도 히트/가드 스탑을 제거할 수는 있는데
버그를 썼을 때와 치트를 썼을 때의 결과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버그를 썼을 때의 효과가 더 확실한 상황이 나오기도 합니다.

게시글 썸네일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일단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KOF98에서 이겼을 때 체력회복량은 남은 시간과 연관이 있습니다.
시간을 많이 남기고 이길 수록 체력회복량은 많습니다.
- 그런데 단순하게 1초라도 빨리 이기면 체력이 약간이라도 더 많이 회복된다 라는 식은 아닙니다.
- 위 영상에서는 남은 시간의 어떤 부분이 체력회복에 영향을 주는가? 를 보여주는 영상입니다.

체력회복량은 남은 시간과 연관이 있긴한데 여기에는 약간의 법칙이 있습니다.
- 체력회복 ∝ 남은시간은 아닙니다.
  > 즉 체력회복이 남은시간과 정비례하는 것은 아닙니다.
- 체력회복(남은시간)의 함수로는 표현이 됩니다.
  > 즉 하나의 조건 다양한 결과가 나오는 랜덤은 아님
  > 중,고등학교 수학시간에 가끔 봤을 대괄호([ ])를 사용하는 계단모양의 함수 Floor function를 이용한 듯
  >> 체력회복량은 남은 시간(t)의 함수로 아래의 수식에 의존합니다.
     체력회복량(t)= C_1 + C_2 * [t/10] (단, C는 상수 [t/10]은 중 고등학교에서 한 번 쯤은 보셨을 계단모양의 함수입니다.)
- 수식을 말로 풀어서 쓰면
 > "체력회복량은 남은 시간의 십의자리 수가 클 수록 회복량이 많고, 십의 자리수가 같으면 회복량도 같다." 입니다.

게시글 썸네일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영상에선 두 가지 버그가 사용되었습니다.
- 두 버그 모두 원호공격이 있어야만 가능합니다.
- 첫 번째 버그는 원호공격을 부르면서 야마자키의 초필살기 드릴을 쓰고 3단계가 되도록 A, C를 연타
 > 야마자키가 바닥에 아무것도 없어서 초필살기가 중단됩니다.
 > 야마자키의 초필살기 드릴은 잡기로 시작해서 난타가 이어지는 독특한 형태인데
  >> 평상시에는 타격순간마다 경직이 발생하지만 초필살기에서 사용되는 타격은 평상시와는 다릅니다.
  >> 아마도 야마자키의 초필살기를 시작하는 순간 타격에 관한 제한조건을 없애고
  >> 마지막 어퍼컷을 때릴 때 다시 평상시로 돌리는 듯 
- 두 번째 버그는 반격기에 원호공격 + 필살기 공격을 동시에 맞추는 것입니다.
 > 일반적으로는 필살기로 반격기가 발동 된 경우에 반격기에 피격되어 필살기가 끝나야 하지만 
 > 원호공격으로 인해서 반격기가 도중에 캔슬이되고 필살기는 반격기를 발동시킨 동작을 유지하게 됩니다.

첫 번째 버그만 걸어도 상당히 기묘한 타격을 볼 수 있는데,
그런 상황에서 무한히 반복되는 타격을 동시에 구현하면 영상과 같은 상황을 볼 수 있게되는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KOF96 부터 상당히 많은 시스템이 도입/변경되었습니다.
그 변경된 시스템 중에 가드에 관한 내용을 보면 "공중에서도 가드가 가능" 하도록 바뀌었고
공중가드는 KOF98까지 있었습니다.

공중가드는 상당히 강력한 방어 시스템으로,
대부분의 공격을 막는 것이 가능하지만 초필살기의 경우 대부분의 초필살기는 막을 수 없습니다.
- 예를 들어서 공중에서 사용가능한 대표적인 초필살기로 봉황각이 있습니다.
 > 상대 캐릭터가 김갑환의 점프CD를 공중가드로 방어를 했다면 바로 봉황각으로 캔슬하면 확정입니다.
- 가드가 가능한 예시로는 친 겐사이의 굉염란포가 있습니다.
 > 아테나의 샤이닝크리스탈비트를 손가락으로 들고 있을 때도 가드가 가능하긴한데
 > 공격하는 사람이 상대방이 굴러서 뒤로 올때 커맨드를 추가입력 + 가드하는 사람은 일부러 점프하기로 하지않는 이상 보기 힘든 경우이므로 위 영상에서는 뺐습니다.

영상은 각 팀단위로 챕터가 구분되어 있으니 확인하고 싶은 캐릭터가 속한 팀 구간을 골라서 보시면 됩니다.

게시글 썸네일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전에 다른 글에서도 한 번 언급을 했었지만
격투게임과 슈팅게임은 기본적인 원리가 같습니다.
- 판정박스라고 부르는 영역을 지정해두고 그 영역을 기준으로 결과를 출력하는 것이 대부분의 게임의 기본원리
- 판정박스에 어떤 그래픽을 덮어 씌우고, 어떠한 논리에 의해서 결과를 출력하는가? 에 따라 다양한 게임이 구현됩니다.

KOF에서는 판정박스 외에도
상황에 따른 특수한 조건을 지정되어 있으며, 판정박스 상으로는 동일한 상황임에도 결과가 달라지는 상황이 자주 발생합니다.
 - KOF97에서 됐었던 상황이 KOF98에서 안 되는 이유가 이 때문입니다. 
  > 대표적으로 최번개의 꼬챙이라고 부르는 기술 이후에 봉황각이 97에서는 가능했지만 98에서는 불가능합니다.
  > 97에서는 공캔슬을 통해 불가능했던 상황을 가능케하는 버그가 있었습니다. [예시 테리의 무한]

위 영상에서는 KOF98을 베이스로 하여 가드에관한 기본설명
- 상단, 중단, 하단판정 공격이 무엇이고 어떻게 가드를 하는지
- 판정박스로 봤을 때 피격되는 상황과 판정박스외에 다른 조건이 있다는 것을 어떻게 추측할 수 있는 지
- 가드유지라는게 왜 가능한 건지

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게시글 썸네일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게임과 관련된 특별한 내용이 있는 건 아니지만 예전영상을 본 외국인이 댓글로 달아둔 "一擊必殺(일격필살)"을
구글이 이상하게 번역하는 걸 보고 이거 특이하네 라는 생각으로 만든 영상입니다.
2023년 1월을 기준으로 一擊必殺(일격필살)을 구글이 좀 이상하게 번역을 했는데

어느 시점을 경계로 영어에 익숙한 사람들이 많아지다보니 생긴 결과가 아닌가? 싶습니다.

참고로 옛날에는 하츠네 미쿠라는 캐릭터를 번역기로 돌렸을 때 "이명박" 이라고 번역이 되던 시절이 있었을 만큼
번역기의 성능은 그닥 좋지 않습니다.
- 엄밀히는 유저들이 계속 요청하면 번역결과에 반영이 되는데 잘못된 쪽으로 요청을 반복해도 그게 반영이 됩니다.
- 요즘 시점으로 이야기하면 위키를 아무나 수정할 수 있다보니 생기는 검증되지 않은 내용에 관한 문제입니다.

이 예시는 엄밀히 말하면 "유저들의 끈질긴 집착"으로 만들어낸 의도된 오역입니다.

 

게시글 썸네일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